의료계 집단휴진 기간 문 여는 병원 찾기

의료계 집단휴진 언제부터?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6월 27일부터 무기한 집단휴진에 돌입할 것을 예고하였다.
의협은 이미 6월 18일에 서울 여의도에 모여 1. 의대 정원 증원안 재논의 2.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3.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과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 등 3가지 안의 대정부 요구사항을 내걸고 총궐기대회를 연 바 있으나 정부와의 의견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무기한 집단휴진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 건강 및 안전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집단휴진 기간에 문 여는 병·의원의 정보와 비대면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 휴진기간 문 여는 병·의원 찾기

전화로 찾기

1) 129 보건복지콜센터
2)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3) 1577-1000 국민건강보험공단
4) 1644-200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콜센터

인터넷 또는 모바일앱으로 찾기

1)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홈페이지 접속 → 시·도/시·군·구/동 선택 → 의료기관/진료과목/진료일 선택 후 검색
2) 보건복지부www.mohw.go.kr 홈페이지 접속 → 우측 중간 ‘문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 클릭
3)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 홈페이지 접속 → 우측 중간 ‘문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 클릭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www.hira.or.kr 홈페이지 접속 → 우측 하단 ‘문 여는 병·의원 안내’ 클릭
5) 보건소 홈페이지 접속 → ‘문 여는 병·의원 안내’ 배너 클릭
6) 모바일 앱(App) 응급의료정보제공(E-Gen)설치 및 접속 → 병·의원 터치 → 장소 주소 검색
– 안드로이드는 플레이스토어, 아이폰은 앱스토어에서 검색

2. 비대면진료 의료기관 찾기

올해 2월 23일부터는 병원 및 의원을 포함한 모든 종별 의료기관의 비대면진료를 허용하고 있다. 또한 4월 3일부터는 지역 보건소 및 보건지소에서도 비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다. 비대면진료는 초진, 재진 상관없이 모두 받을 수 있으나 의약품 수령은 원칙적으로 환자 본인 또는 환자가 거동이 어려운 경우 환자의 직계존속에 의한 대리 수령만 가능하다.

비대면진료 가능 의료기관 검색방법(인터넷)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접속 → 중앙의 ①‘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진료기관’ 클릭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접속 → ‘의료정보’ 탭 클릭 → ②‘특수운영기관 정보’ 선택 → ③‘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선택 후 검색

3. 응급환자의 응급실 이용

전국적으로 408개의 응급의료기관은 응급의료법에 의거,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응급환자라면 의료계 집단휴진 기간에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대형병원 응급실은 중증환자의 응급진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동네 병·의원이나 가까운 응급실에 방문하는 것을 권장한다.

Epigenetics: Changing the Fate of Inherited Genes

Epigenetics studies mechanisms that regulate gene expression without altering the DNA sequence. It focuses on how environmental factors, lifestyle, and external stimuli influence gene activity and how these effects are maintained during cell division and gene transmission.

Key Differences from Traditional Genetics:

  • Beyond DNA Sequence: Traditional genetics focuses on gene sequences, while epigenetics examines how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by environmental factors.
  • Gene and Environment Interaction: Epigenetics emphasizes the interaction between genes and the environment, showing that these interactions significantly influence traits and diseases.
  • Epigenetic Inheritance: Epigenetic changes can be passed down, meaning that parents’ lifestyles and environments can affect their offspring.

Main Concepts:

  • DNA Methylation: The addition of methyl groups to DNA, typically repressing gene expression.
  • Histone Modification: Changes in histone proteins affect chromatin structure and gene accessibility.
  • Non-coding RNA: RNAs that do not encode proteins but regulate gene expression.
  • Chromatin Remodeling: Changes in chromatin structure to regulate gene activity.
  • Cellular Memory: Epigenetic marks that are maintained through cell divisions.

Importance of Epigenetics:

  • Environmental Impact: Helps understand how diet, stress, and toxins influence gene expression.
  • Disease Research: Links to conditions like cancer, diabetes, and mental disorders, aiding in thei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 Developmental Biology: Essential for understanding cell differentiation and tissue formation.
  • Genetic Diversity: Explains variability and evolutionary adaptation.

Contributions to Humanity:

  1.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 Early Diagnosis: Epigenetic markers help in the early detection of diseases like cancer.
    • Personalized Therapy: Tailoring treatments based on individual epigenetic profiles.
    • Drug Development: Targeting epigenetic mechanisms for new therapies.
  2.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Public Health:
    • Understanding Environmental Factors: Improving public health policies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ollutants, diet, and stress.
    •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Encouraging practices that positively influence gene expression.
  3. Biological Understanding and Education:
    • Developmental Biology: Insights into embryonic development and disease origins.
    • Evolutionary Research: Explains species adaptation and biodiversity.
  4. Inheritance and Generational Impact:
    • Intergenerational Inheritance: Understanding how parents’ environment affects offspring.
    • Healthy Pregnancy and Birth: Managing epigenetic factors for healthy fetal development.

후성유전학, 타고난 유전자의 운명을 바꾸다

후성유전학(Epigenetics)은 타고난 유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전통적인 유전학의 관점을 확장하여, 유전자 발현의 조절과 환경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유전자와 환경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며, 생물학적 특성과 질병의 이해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후성유전학의 정의

후성유전학이란 DNA 서열의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분야는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환경적 요인, 생활 습관, 그리고 기타 외부 자극에 의해 조절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조절이 어떻게 세포 분열과 유전자 전달 과정에서 유지되는지에 중점을 둡니다.


기존의 유전학과의 주요 차이점

  • 유전학은 유전자와 유전 정보의 구조와 기능에 집중하는 반면, 후성유전학은 유전자 발현의 조절과 환경 요인이 유전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 유전학은 DNA 서열 분석, 유전자 변이 등을 주로 다루고, 후성유전학은 DNA 서열 외의 변화를 (예: 메틸화, 히스톤 수정) 연구합니다.
  • 유전학적 연구는 주로 고정된 유전자 서열의 변화와 그것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지만, 후성유전학은 외부 요인들이 유전자 발현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그 변화가 세대를 거쳐 전달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둡니다.

유전자 서열만이 전부가 아니다

기존의 유전학은 주로 유전자 서열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후성유전학은 유전자 발현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주목합니다. 유전자 서열이 동일하더라도 발현 조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기존의 유전학은 유전자의 영향력을 강조한 반면, 후성유전학은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인간의 특성과 질병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유전자와 환경이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개체의 표현형을 결정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후성유전적 유전

후성유전학은 유전적 정보가 단순히 DNA 서열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후성유전적 변화를 통해서도 전달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부모의 생활습관이나 환경적 요인이 자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후성유전학의 주요 개념

DNA 메틸화 (DNA Methylation):

  • 메틸기(CH₃)가 DNA의 시토신(Cytosine) 염기에 첨가되는 과정입니다. DNA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메틸화가 많이 된 유전자는 발현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히스톤 변형 (Histone Modification):

  • DNA가 히스톤 단백질에 감겨 있는 형태인 크로마틴에서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합니다. 히스톤 아세틸화, 메틸화, 포스포릴화 등이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크로마틴 구조를 변화시켜 유전자 접근성을 조절합니다.

비암호화 RNA (Non-coding RNA):

  • 비암호화 RNA는 단백질을 코드하지 않지만 유전자 발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이크로RNA(miRNA), 긴 비암호화 RNA(lncRNA)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사 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거나 크로마틴 구조를 변화시킵니다.

크로마틴 리모델링 (Chromatin Remodeling):

  • 크로마틴 구조가 변화하면서 유전자 발현이 조절됩니다. 이는 히스톤 변형과 상호작용하며, 특정 유전자에 대한 접근성을 변화시켜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합니다.

세포 기억 (Cellular Memory):

  • 후성유전적 표지가 세포 분열 시 유지되어, 딸세포에서도 동일한 유전자 발현 패턴을 유지하게 합니다. 이는 세포 분화와 조직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후성유전학의 중요성

  • 환경적 영향: 후성유전학은 환경적 요인(예: 식습관, 스트레스, 독소 등)이 유전자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질병 연구: 많은 질병(예: 암, 당뇨병, 정신 질환 등)이 후성유전적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후성유전학적 연구는 이러한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개체 발달: 후성유전학은 배아 발달 과정에서 세포 분화와 조직 형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유전적 다양성: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유전적 다양성과 진화적 적응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류에 기여하는 후성유전학

1. 질병 예방 및 치료

  • 조기 진단:
    • 후성유전학적 표지를 이용하여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전자의 메틸화 패턴은 암의 초기 단계에서 변형될 수 있어 이를 통해 조기 발견이 가능합니다.
  • 맞춤형 치료:
    • 후성유전학적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특정 유전자의 발현 패턴에 따라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신약 개발:
    •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약물 개발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히스톤 디아세틸화 효소(HDAC) 억제제와 같은 약물은 후성유전적 변화를 통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2. 환경 적응 및 공중 보건

  • 환경 요인 이해:
    • 환경적 요인(예: 오염, 식습관, 스트레스 등)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공중 보건 정책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환경적 요인에 대한 예방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생활습관 개선:
    • 후성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건강한 생활습관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이 유전자 발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건강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3. 생물학적 이해 및 교육

  • 발달 생물학:
    • 후성유전학은 배아 발달 과정에서 세포 분화와 조직 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생물학적 발달 과정과 관련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진화 연구:
    •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진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이해함으로써, 생물종의 적응과 다양성을 설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4. 유전 및 세대 간 영향

  • 세대 간 유전:
    • 후성유전학적 표지가 세대 간에 전달될 수 있음을 통해 부모의 생활습관과 환경이 자손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중 보건과 유전 상담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건강한 임신과 출산:
    • 임신 중 후성유전적 요인을 관리함으로써 태아의 건강한 발달을 도울 수 있습니다. 이는 임신 중 영양, 스트레스 관리 등이 태아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건강 관리 전략을 포함합니다.

The Secret of Immunity – The Thymus and T Cells

Immunity is the body’s ability to fight off foreign invader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At the heart of this important defense system are the thymus gland and T-cells, which we’ll discuss in this article, including what they are, how they function, and how they relate to T-cells.

Definition and Location of the Thymus

The thymus is a crucial organ in our immune system located in the upper chest, just behind the sternum and above the heart. It aids in the matu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 cells.

Form and Structure of the Thymus

The thymus has a leaf-like shape, divided into two lobes, each further divided into many lobules. These lobules contain an outer cortex and an inner medulla, where T cells mature.

Function of the Thymus

The primary function of the thymus is to produce and mature T cells, which are essential for recognizing and attacking pathogens.

Related Diseases

Diseases related to the thymus include thymoma (thymus tumor) and myasthenia gravis, an autoimmune disorder.

Thymus and T Cells

The thymus is akin to a “school” for T cells, where they learn to distinguish between self and non-self antigens before regulating immune responses throughout the body.

Roles of T Cells

T cells have two main roles: directly attacking infected or cancerous cells and regulating other immune cells’ activities.


Ways to Boost Immunity

  1. Balanced Diet

    • Consume foods rich in vitamins and minerals.
    • Eat antioxidant-rich fruits and vegetables.
  2. Regular Exercise

    • Engage in aerobic exercise 3-5 times a week.
    • Include strength training.
  3. Sufficient Sleep

    • Ensure 7-9 hours of sleep each night.
    • Maintain a consistent sleep schedule.
  4. Stress Management

    • Practice meditation or yoga.
    • Enjoy hobbies.
  5. Hydration

    • Drink at least 8 glasses of water daily.
    • Limit alcohol and caffeine intake.
  6. Healthy Lifestyle

    • Avoid smoking and limit alcohol.
    • Have regular health check-ups.
  7. Vaccinations

    • Get necessary vaccinations like flu and pneumonia shots.
  8. Maintain Healthy Weight

    • Keep a balanced weight.
    • Avoid being overweight or underweight.
  9. Personal Hygiene

    • Wash hands frequently.
    • Maintain good personal hygiene to prevent infections.

면역력의 비밀 가슴샘(흉선)과 T세포

면역력은 우리 몸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외부의 침입자들들과 싸우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중요한 방어 시스템의 핵심에는 가슴샘(흉선,Thymus)과 T세포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 가슴샘의 정의와 기능, 그리고 T세포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가슴샘의 정의와 위치

가슴샘은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가슴 중앙부, 정확히는 흉골 뒤쪽 심장 위쪽에 위치해  있으며 면역 세포 중 하나인 T세포의 성숙과 분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가슴샘의 크기는 신생아 때부터 발육하여 사춘기에 가장 커졌다가, 그 뒤에는 점점 크기가 작아져 성인에서는 상당 부분 지방으로 대체된다.

가슴샘의 형태 및 구조

가슴샘은 나뭇잎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두 개의 엽으로 나뉘어 있다. 각각의 엽은 다시 여러 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이 소엽 내부에는 겉질(코르텍스)과 속질(메둘라)이 있는데, T세포는 이 구조 속에서 성숙한다. 겉질은 T세포가 초기 단계에서 분화하고 증식하는 장소이고, 속질은 성숙한 T세포가 최종적으로 분화하는 장소이다.

가슴샘의 기능

가슴샘의 주요 기능은 T세포를 생성하고 성숙시키는 것이다. T세포는 면역 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외부 병원체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역할을 한다. 가슴샘에서 성숙한 T세포는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이동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관련 질병

가슴샘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슴샘종(Thymoma)은 가슴샘에 생기는 종양으로, 면역 체계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같은 자가면역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가슴샘과 T세포의 관계

가슴샘은 T세포의 ‘학교’라고 할 수 있다. T세포는 골수에서 생성된 후, 가슴샘으로 이동해 성숙하고 교육받는다. 이 과정에서 T세포는 자가와 비자가를 구분하는 법을 배우며, 이후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세포의 역할

T세포는 주로 두 가지 역할을 한다. 하나는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면역 세포들을 조절하고 활성화하는 것이다. T세포는 바이러스, 세균, 암 세포 등 다양한 병원체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한다.


면역력을 좋게 만드는 생활습관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면역 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면역 세포의 활동을 촉진시킨다. 충분한 수면도 중요한데, 수면이 부족하면 면역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도 면역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몸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한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균형 잡힌 식단 유지

  •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음식 섭취
  •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 섭취

규칙적인 운동

  • 주 3-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 근력 운동 병행

충분한 수면

  • 하루 7-9시간 충분한 수면 확보
  • 일정한 수면 패턴 유지

스트레스 관리

  • 명상, 요가 등 스트레스 해소 활동
  • 취미 생활 즐기기

수분 섭취

  • 하루 8잔 이상의 물 섭취
  • 과도한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 자제

건강한 생활 습관

  • 금연 및 절주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예방 접종

  • 필요한 예방 접종 받기
  • 독감 및 폐렴 예방 접종 등

적절한 체중 유지

  • 적정 체중 유지하기
  • 과체중 및 저체중 방지

청결 유지

  •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철저히
  • 감염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유지

가슴샘과 T세포는 면역 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잘 관리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갑상선 기능저하증(갑상샘 저하증) 증상과 치료

갑상선(갑상샘)은 우리 몸의 목 앞쪽, 목젖 아래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작은 기관으로 티록신(T4), 트리요오드티로닌(T3)이라는 주요 호르몬을 생산하여 이 호르몬들 몸의 신진대사 속도를 조절하고, 에너지 생성, 체온 유지, 심장 박동, 그리고 여러 장기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갑상선이 충분한 호르몬을 만들지 못해서 생기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극심한 피로감, 식사량이 관계없이 체중의 급격한 증가, 추위에 민감해지는 것, 피부 건조, 탈모, 변비, 얼굴이나 눈 주위가 붓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우울감이나 기억력 저하 같은 정신적인 증상도 나타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생리 불순이나 불임 문제도 생길 수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정의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갑상선이 충분한 양의 호르몬을 생성하지 못해서 신진대사가 느려지는 상태를 말한다.
우리 몸의 갑상선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인 티록신(T4)과 트리요오드티로닌(T3)이 부족하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증상

  • 평소처럼 생활하는데도 피로감을 극심하게 느끼는 것
  • 체중의 급격한 증가
  • 추위에 지나치게 민감해지는 것
  • 피부 건조
  • 탈모
  • 변비
  • 얼굴이나 눈 주위의 부종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자가면역질환인 하시모토 갑상선염이다.
이 질환에서는 면역 시스템이 갑상선을 공격해서 기능을 떨어뜨린다.
그 외에도 갑상선 수술, 방사선 치료, 특정 약물 복용, 요오드 결핍 등이 있으며 여성의 경우 임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발견

국가건강검진과 같은 일반적인 혈액검사로는 갑상선 질환까지는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지나치게 피로한 느낌이 오래되거나 체중이 이상하게 증가하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세부적인 혈액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검사 방법

혈액 검사

  • TSH 검사: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수치를 측정하는 검사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으면 TSH 수치가 높아진다. TSH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데,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할 때 이를 보충하기 위해 더 많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 T4 검사: 자유 티록신(Free T4) 수치를 측정한다. T4는 갑상선 호르몬 중 하나로, TSH와 함께 검사하면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데,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으면 Free T4 수치가 낮아진다.
  • T3 검사: 트리요오드티로닌(T3) 수치를 측정한다. 보통 T4 검사가 더 중요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T3 검사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항갑상선 자가항체 검사: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원인인 경우, 항갑상선 자가항체(TPOAb, TgAb)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 갑상선 스캔

  •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갑상선의 크기, 형태, 결절 유무 등 갑상선의 구조적인 문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 방사성 요오드나 테크네슘을 이용한 갑상선 스캔 검사를 통해 갑상선의 기능과 구조, 갑상선의 활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밖에도 콜레스테롤, 혈당, 철분 수치 등 다른 혈액 검사와 함께 면역력 검사도 진행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수치들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날 경우 종합적으로 갑상선 기능에 대해 의심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방법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주로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하는 약물을 통해 치료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성분은 레보티록신(Levothyroxine)으로 부족한 호르몬을 합성해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갑상선 호르몬 수치도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여러 증상들이 개선된다. 대부분 저하증 약 복용의 경우 평생 또는 오랜기간 약을 먹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약 효과적으로 복용하는 방법

  • 아침에 공복에 복용하기
    갑상선 기능저하증 약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공복 상태에서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다른 성분에 의해 흡수가 방해될 수 있으므로 약 복용 후 30분에서 1시간 뒤에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기
    사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약은 몰아서 복용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매일 1알씩 먹는 약을 하루 놓쳤다면 내일 2알을 먹어도 괜찮다.
    하지만 가장 좋은 것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다.
  • 다른 약, 영양제와의 섭취간격 유지
    식사와 마찬가지로 갑상선기능저하증 약에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다른 약이나 영양제와의 섭취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특히 칼슘, 철분, 제산제 등은 약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어서 최소 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 건강한 식습관 유지
    지나치게 기름진 식사, 음주, 흡연 등은 감사하는 것이 좋으며 요오드가 많이 든 식품(김, 미역, 굴 등)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방치할 경우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는 질병이지만, 일반적으로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발병사실을 빠르게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일반적인 건강검진으로는 발견이 쉽지 않으므로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내과, 내분비내과, 소화기내과 등 관련병원에 가서 증상을 말하고 혈액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애플 사이다 비니거, 애사비의 놀라운 효능

애플 사이다 비니거(Apple Cider Vinegar, ACV, 애사비)는 흠이 없고 품질 좋은 사과만을 골라 천연 발효 시킨 사과식초로, 사과주스에서 사과주로 변하고 이후 추가적으로 발효가 이루어지면서 사과식초가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애플 사이다 비니거(이하 애사비)는 아세트산이 주요 성분으로 특유의 찡하게 새콤한 맛과 향이 특징입니다.
헐리웃 유명 배우들이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해 음용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폭발적으로 유행하게 된 애사비는 산성화된 몸속을 개선하여 건강에 여러가지 도움을 줍니다.

애사비 제조 과정

  • 선별 및 착즙: 신선한 사과를 선택하여 주스를 짜냅니다.
  • 1차 발효(알코올 발효): 사과 주스를 효모와 함께 발효시키는 과정으로, 약 1주에서 2주 정도 소요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과 주스가 사과 와인 또는 사이다로 변합니다.
  • 2차 발효: 알코올 발효된 사과 와인 또는 사이다에 아세트산균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으로 변환하는 단계로, 약 3주에서 4주 정도 소요됩니다. 이 과정에서 사과 와인은 애플 사이다 비니거로 변화합니다.
  • 숙성: 발효가 완료된 애플 사이다 비니거를 숙성시키는 단계로, 맛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몇 주에서 몇 달간 숙성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제조업체는 최적의 맛과 품질을 위해 6개월에서 1년간 숙성시키기도 합니다.
  • 여과: 숙성된 애사비를 여과 과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애사비 주성분

  • 아세트산(Acetic Acid): 항균, 혈당 조절, 체중 관리 등에 도움이 되는 주요 성분.
  • 구연산(Citric Acid): 소화 개선과 체내 산-알칼리 균형 조절에 기여.
  • 폴리페놀(Polyphenols):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 보호 및 염증 완화에 도움.
  • 비타민(주로 비타민 C): 면역력 강화와 피부 건강에 유익.

좋은 애사비 고르는 방법

좋은 애사비를 고르는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병 라벨에 “with the MOTHER“라고 표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MOTHER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엄마라는 뜻이 아니고 천연 발효 과정 중에 만들어진 효모+세균 조합인 ‘초모’를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또한 병을 들어보았을 때 병 바닥에 갈색 빛깔의 침전물이나 덩어리진 물질이 보일 것입니다. 이것은 해로운 이물질이 아니라 천연 발효과정에서 생긴 건강에 좋은 섬유질입니다.
따라서 완전히 맑고 깨끗한 애사비보다 이렇게 침전물이 잘 보이는 애사비가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진 애사비라고 알 수 있습니다.

애사비 고르는 더욱 자세한 꿀팁!

1. 원재료 확인 유기농 사과로 만든 애플 사이다 비니거는 화학 비료나 농약 없이 재배된 사과를 사용하므로 더 건강하고 안전합니다.
2. 천연 발효 방식 천연 발효 과정을 거친 애사비는 인공 첨가물이나 인위적인 화학 과정이 없이 발효된 것으로, 더 많은 유익한 성분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비가열처리(Non-Pasteurized) 비가열처리, 무살균된 애플 사이다 비니거는 효소와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있어 건강에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4. 비필터(With the “Mother”) Mother“라 불리는 섬유질 덩어리가 포함된 제품은 유익한 효소와 박테리아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좋습니다.
필터링된 제품은 맑고 투명한 반면, 비필터링된 제품은 탁한 것이 특징입니다.
5. 성분표 확인 첨가물이나 인공 향료, 색소가 없는 순수 애플 사이다 비니거를 선택합니다. 라벨에 “Raw“와 “Unfiltered“가 표시된 제품이 좋습니다.
6. 유리병 포장 유리병에 포장된 애사비 플라스틱 용기에 비해 화학 물질 침출 위험이 적습니다. 따라서, 유리병에 담긴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7. 브랜드 평판 오랫동안 생산하고 판매중인 브랜드, 평판이 좋은 브랜드에서 제조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8. 맛과 향 테스트가 가능하다면 소량을 맛보고 향을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좋은 애플 사이다 비니거는 사과의 자연스러운 풍미가 느껴져야 하며, 너무 신맛이 강하거나 인위적인 맛이 나지 않아야 합니다.
9. 유기농 인증 USDA Organic, Non-GMO Project Verified 등의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은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

애사비 섭취방법

  • 물에 희석하여 음용: 물 1컵(약 240ml)에 애사비 1-2 테이블스푼을 희석하여 마십니다.
    원액을 바로 마시거나 애사비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치아 에나멜층에 손상을 주거나 속이 쓰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위가 약한 사람의 경우 식전 보다는 식후에 마시는 것이 유익합니다.
  • 샐러드 드레싱: 샐러드에 비니거를 직접 뿌리거나, 올리브 오일 등과 혼합하여 드레싱으로 사용합니다.
  • 요리에 활용: 소스, 마리네이드, 피클 등에 첨가하여 사용합니다.

애사비 효능

  • 혈당 조절: 식후 혈당 급상승을 완화하여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 체중 관리: 포만감을 증대시키고,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소화 촉진: 소화 효소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 과정을 돕습니다.
  • 항균 작용: 아세트산의 항균 효과로 인한 감염 예방 및 상처 소독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피부 건강: 여드름 개선, 피부 pH 균형 조절 및 항균 효과를 통해 피부 트러블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애사비 섭취 시 주의할 점

  • 과도한 섭취 자제: 하루 1-2 테이블스푼 이상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섭취는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치아 건강: 고농도의 애사비는 치아 에나멜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물에 희석하여 섭취하고 섭취 후 입안을 물로 헹구는 것이 좋습니다.
  • 약물 상호작용: 혈당 강하제나 이뇨제 등 특정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애사비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 알레르기 반응: 간혹 애사비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있으므로, 처음 섭취 시 주의해야 합니다.

애사비는 올바르게 섭취하면 건강에 많은 이점을 줄 수 있는 자연 식품이지만,
그 효능과 더불어 주의 사항도 충분히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